-
[엔비디아] 5월 25일 다가오는 실적 발표, 하락세를 멈출 실적일까? 3개의 예상 반등 지지 라인미국 주식 2022. 4. 25. 10:07728x90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후 엔비디아의 주가는 가치의 최고점 대비하여 현재 40% 이상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5,500억 달러 미만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 이후 PC 판매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 속에 황소들은 달아났고, 금리 상승은 고성장 주식의 매도를 촉발시켜 고통을 악화시켰다.
엔비디아는 올해 2022년 1월 종료된 2022회계 연도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78% 성장하면서 매출이 269억 1000만 달러로 61% 급증했다. 조정된 영업이익률은 640 베이시스 포인트 상승한 47.2%를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의 대부분은 게임 및 데이터 센터 GPU의 판매 호조에 기인한다.
그러나 분석가들은 향후 3년 동안 Nvidia의 매출 증가가 업그레이드 주기가 냉각됨에 따라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지난해 말 발생한 소비자용 그래픽 처리장치(GPU) 주문 취소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아직 직속되고 있으며 공급망 문제 외에도 가까운 장래에 러시아나 우크라이나에 GPU가 많이 출시되지는 않을 것이다. 지난 2월부터 시작된 글로벌 반도체 수요 구멍은 올해 엔비디아의 분기 실적에 큰 부담을 줄 수 있다.
다가오는 5월 25일 두번째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가 있으며 현재 예상 EPS로는 1.29이며 수익으로는 8.12B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미국 전체 시장이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 문제로 인해 하락하고 있으며 특히 기술주 위주인 나스닥이 큰 타격을 받고 있고 엔비디아 역시 주가에 큰 타격을 입고 있는 기업 중 하나이다.그렇다면 어디 쯤에서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까?
전 고점 대비 -44%현재 전 고점 대비하여 대략 44%가량 하락한 상태이며 현재 추세로 보면 매우 안 좋은 하락세입니다. 반등 및 지지를 기대하였던 전 저점은 이미 깨지고 내려왔으며 다음 지지 라인을 찾아야 하는 자리입니다. 그럼 이 가격대 아래에 어떤 지지라인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수직 예상 지지 라인반등을 기대 할 만한 수평 지지 라인을 모두 그어봤다. 그 라인에서 평소보다 많은 볼륨을 보여주어 조금 더 강한 지지선이 될 것이라 보이는 곳은 5곳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187.62, $178.66, $162.14, $135.43, $116.79 이 다섯 개의 가격대에서 그나마 반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보입니다. $162.14는 저항으로만 테스트받은 라인이긴 하지만 저항이 뚫린 뒤엔 지지선으로 바뀌기 때문에 한 번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락 채널 및 피보나치최후의 지지라인이라 생각하는 $116.79를 저점으로 잡고 피보나치를 그려보면 앞서 말한 $178.66 근처가 피보나치 0.618 부근이며 $162.14 근처는 피보나치 0.707 그리고 $135.43은 피보나치 0.886 부근으로 나타납니다. 또한 $178.66 라인은 현재 하락 채널의 하단 부근이랑 겹치며 반등을 한번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치보나치 1:1 혹른 1:1.13현재 내려오는 하락 파동이 C 파동이라면 피보나치 1:1 부근 역시 앞서 말한 $178.66 라인 근처 (조금 아래 $174.51)이며 $162.14는 피보나치 1:1.13 부근임으로 이 지지 라인에서 바로 상승 추세로 전환된다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 반등이라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강한 매물대앞서 말한 두개의 지지선 모두 아무 반등 없이 쉽게 뚫리게 된다면 결국 그나마 매물대가 많이 모여있는 $143.47 ~ $123 박스 저 부분에서 지지를 이어줘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혹시라도 저 박스까지 값이 밀리게 된다면 전고점 대비하여 60% 이상 하락하는 것이며 현재 아무리 엔비디아가 고평가 받고 있고 P/E 비율도 50이 넘는 고평가 평가를 받지만 매출과 성장력이 없이 이루어낸 밸류에이션이 아님으로 매우 과매도 상태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물론 아무리 차트가 어쩌고 저쩌고 지지라인이 어쩌고 저쩌고 하여도 현재 시장은 기업에서 발표하는 실적과 공급망 이슈,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 이슈, 인플레이션 이슈 및 금리 이슈에 더 집중하고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5월 25일에 있을 실적 발표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날의 발표된 실적과 가이던스에 따라 넷플릭스처럼 끊임없는 하락을 이어갈지 아님 테슬라처럼 반등을 이어갈지 결정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728x90'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증시 시황 뉴스] 메타 (페이스북)의 기대 이상의 실적 발표, 내일 다가오는 애플의 실적 발표, 아직 시장은 조심 중 (0) 2022.04.28 [미국 증시 시황 뉴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실적발표, 트위터는 테슬라의 방해물? 베어 마켓 전망 (4) 2022.04.27 [테슬라] 강한 실적 발표로 주가를 상승시킨 일론 머스크, 차트로 알아보는 앞으로의 전망 및 대비 (3) 2022.04.22 [넷플릭스] 또 한 번의 어닝 쇼크, 이유 및 해결 방안, 어디가 바닥이며 반등이 일어날까? (0) 2022.04.21 QQQ: 미국 나스닥 시황 차트 분석, 상승 망치 캔들을 이어가는 매수 세력의 강한 상승력, 또 한 번의 도전 (0) 2022.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