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도 코로나 종식, 더불어 코로나 세계 리오프닝에 관심 가져야 할 ETF 4 가지관심 주식 2022. 4. 17. 10:15728x90
오는 18일부터 이제 한국도 다른 유럽이나 미국과 같이 코로나 관련한 모든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해제되며 코로나 감염병 등급도 1급에서 2급으로 하향 조정한다. 하지만 유럽과 미국과는 달리 아직 마스크 착용은 래제되지 않았으며 이에 관련한 정책으로는 아직은 조금 더 지켜본다는 자세이다. 지금의 코로나 유행세가 유지 혹은 하양된다면 마스크 착용 또한 의무가 아닌 권고로 전환될 예정이다.
세계 코로나의 대유행은 1월 말에 정점을 찍고 하향세로 내려오고 있다. 코로나 첫 확진자가 나온 지 거의 2년이 지난 지금, 최근의 오미크론 급등 및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들이 계속해서 기대를 놀라게 하고 있다. 그렇긴 하지만, 최근의 데이터에는 터널의 끝에 있는 불빛에 대한 전망을 뒷받침하는 밝은 전망이 있다.
코로나 백신이 심각한 질병을 예방하고 죽음을 제한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전 세계 인구가 백신 접종률을 증가시키면서 전염병이 생명을 위협하지 않는 질병으로 취급되는 보다 풍토적인 단계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미크론을 전염성이 매우 강한 것으로 묘사하는 보고서들은 대부분 가벼운 증상을 나타내지만, 또한 전 세계가 백신 접종을 받거나 회복된 상태에서 집단 면역의 수준으로 더 나아갈 수 있다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로 부터 회복된다면 경제 회복과 바이러스를 통제할 수 있는 세계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새롭게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앞으로 리오프닝에 수혜를 받을 여행주들은 더 강력한 운영 및 금융 환경을 배경으로 모멘텀을 되찾을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있다.
1. ETFMG Travel Tech ETF (AWAY)
Airbnb Inc Ordinary Shares - Class A ABNB 4.95% Uber Technologies Inc UBER 4.80% Booking Holdings Inc BKNG 4.45% Lyft Inc Class A LYFT 4.45% MakeMyTrip Ltd MMYT.BO 4.40% Trainline PLC TRN.L 4.28% Trip.com Group Ltd ADR TCOM 4.22% TravelSky Technology Ltd Class H 00696 4.11% Expedia Group Inc EXPE 3.98% TripAdvisor Inc TRIP 3.95% - 2020년 초 출범한 ETFMG Travel Tech ETF (AWAY)는 운송·여행 사업에 투자하는 소수의 펀드를 변형한 것이다. AWAY는 여행 기술과 관련된 회사들의 지수를 추적하고 있으며, 상위 보유 기업으로는 웹젯, 부킹 홀딩스, Uber, Lyft, 그리고 Trip.com, Expedia와 같은 여행 웹사이트 운영자들이 있다.
- 운용 수수료는 0.75% 이다.
- Top 10 홀딩과 ETF의 이름을 보면 알듯이 테크 쪽 성향이 있는 여행 관련된 종목들 위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새 테크 종목들이 약세일 때 같이 약세는 성향이 있으나 이제 수요가 늘어나고 실적이 보인다면 큰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있다.
2. Invesco Dynamic Leisure & Entertainment ETF (PEJ)
Yum Brands Inc YUM 5.62% Starbucks Corp SBUX 5.40% The Walt Disney Co DIS 5.33% McDonald's Corp MCD 5.29% ViacomCBS Inc Class B VIAC 5.25% Sysco Corp SYY 5.06% Yum China Holdings Inc YUMC 4.89% Expedia Group Inc EXPE 4.32% Everi Holdings Inc EVRI 3.32% Manchester United PLC Class A MANU.L 3.13% - PEJ의 보유 자산은 호텔, 카지노, 월트 디즈니사와 같은 코로나로 심하게 타격을 입은 회사들과 산업들을 포함한다. 코로나가 종식이 된 것은 맞지만 변이 바이러스의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아마도 레스토랑에 가고, 자동차로 여행을 가고 싶어 할 수도 있지만, 비행기로는 아닐 수도 있다. 소비지출에 있어서 직선적인 대열은 없을 것이기 때문에 이 펀드의 다양한 종목 구성이 도움이 될 것이다. 비즈니스 모델만 다양화하는 것이 아니라 대형, 중형, 소형주뿐만 아니라 성장·가치 기업도 혼재하고 있다.
- 운용 수수료는 0.55%이다.
3. U.S. Global Jets ETF (JETS)
Delta Air Lines Inc DAL 10.01% United Airlines Holdings Inc UAL 9.87% Southwest Airlines Co LUV 9.81% American Airlines Group Inc AAL 9.53% Alaska Air Group Inc ALK 2.98% Sun Country Airlines Holdings Inc SNCY 2.97% Allegiant Travel Co ALGT 2.94% JetBlue Airways Corp JBLU 2.86% SkyWest Inc SKYW 2.85% Air Canada Class B AC.TO 2.84% - 미국 글로벌 제트 ETF(JETS)는 항공사 운영사, 제조사, 공항, 터미널 서비스 등 항공 여행 산업에 관여하는 기업들의 지수를 추적한다.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항공사는 아메리칸, 사우스웨스트, 유나이티드, 델타 등이다. 이 회사의 지분 대부분은 북미 증권에 있으며, 유럽,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기업들에 대한 배당금은 더 적다. SPDR S&P 교통 ETF(XTN), iShares Transportation Average ETF(IYT), ETFMG Travel Tech ETF(Taway)와 같은 광범위한 여행 및 운송 분야에서 경쟁자들이 존재하지만, JETS는 시장에 있는 유일한 진정한 순수 항공 여행 ETF이다.
- 운용 수수료는 0.6%이다.
- 유가 폭등에 따른 항공사의 실적 및 주가의 흐림이 어땠는지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트를 참고해 보자.
- 2022.04.16 - [관심 주식] - [ETF 주식 분석] 코로나 끝나면 비행기 타고 여행가야지, JETS
4. Defiance Hotel Airline and Cruise ETF (CRUZ)
Marriott International Inc Class A MAR 8.23% Delta Air Lines Inc DAL 7.27% Southwest Airlines Co LUV 6.59% Hilton Worldwide Holdings Inc HLT 6.57% Carnival Corp CCL 6.42% Royal Caribbean Group RCL 4.93% United Airlines Holdings Inc UAL 4.34% Ryanair Holdings PLC ADR RYAAY.IR 3.94% American Airlines Group Inc AAL 3.58% InterContinental Hotels Group PLC ADR IHG.L 3.21% - Definance's Hotel, Airline and Cruise Line ETF는 소매 및 기관 투자자들에게 상당한 성장 잠재력이 있다고 믿는 기업의 횡단면을 노출시킵니다. 그것은 주로 여객 항공사, 호텔 및 크루즈 산업에 종사하는 회사의 규칙 기반 가중 지수인 블루스타 글로벌 호텔, 항공사 및 크루즈 지수의 수수료와 비용 이전의 성과를 추적하려고 한다.
- 운용 수수료는 0.45%이다.
- 항공사만 포함하는 JETS가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항공사들과 호텔 그리고 크루즈 기업들까지 포함한 이 CRUZ ETF가 제격이라 생각한다.
728x90'관심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평가 및 재무제표 비교 분석] 코카콜라 (KO) VS 펩시 (PEP) (2) 2022.04.21 [미국 주식 가치평가 및 재무제표 비교 분석] 퀄컴 (QCOM) VS 인텔 (INTC) (1) 2022.04.19 [ETF 주식 분석] 코로나 끝나면 비행기 타고 여행가야지, JETS (0) 2022.04.16 [주식 비교 분석] 애플 (APPL) VS 마이크로소프트 (MSFT) (0) 2022.04.15 [주식 비교 분석] 암드 (AMD) VS 엔비디아 (NVDA) (0) 2022.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