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기술적 분석] 지지와 저항 - 2편 (진입 가격, 청산 가격 선정)주식 공부 2022. 5. 16. 10:07728x90
2022.05.13 - [주식 공부] - [주식 기술적 분석] 지지와 저항 - 1편 (기본 개념)
지난 포스트에서 지지와 저항의 기본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어떻게 트레이딩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간단하게 지난번 지지를 보여줬던 가격에서 매수를 저항을 보여줬던 가격에서 매도를 설정하면 된다. 하지만 이럴 경우 결국 그 가격에 도달하지 않아서 체결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다른 트레이더들 또한 그 가격대를 유심히 지켜보고 있으며 그들 또한 그 가격대에 똑같이 매수/매도를 진행하기에 정확한 그 가격보다 조금 더 위 혹은 아래에서 체결이 진행된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가격을 설정할 땐 타이트하게 너무 정확한 가격보다는 체결을 진행하고자 싶은 가격보다 위 혹은 아래에 약간의 차이를 둬 놓으면 더 좋을 수 있다.
지지 영역을 매우 얇은 선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뚜꺼운 마커로 선을 그은 것처럼 밴드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지지선을 이용한 매수 가격 구하기화살 표가 가르키는 밴드 영역에서 가격의 지지가 일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이 가격대를 기억해 두며 상승된 가격이 다시 내려올 때 무서워하지 말고 진입을 하도록 매수 설정을 해놓는다.
이렇게 앞서 일어난 지지선의 지지를 믿고 다음 번 그 가격대에서 매수를 진행한다면 그 지지선으로부터의 반등의 상승의 수익률을 얻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저항선을 이용한 매도 가격 구하기저항 선 또한 똑같은 원리로 적용할 수 있다. 저렇게 저항을 받는것을 확인한 자리에 다음번 매도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저 구간에서 저항이 발생했다는 것은 아무래도 저 영역에서 트레이더들이 매수로부터 얻은 시세 차익을 얻으려 포지션을 종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한번 큰 하락이 오기전 저항이 강할 것이라 예상되는 영역에서 포지션을 청산함으로 안전하게 포지션을 정리한 것을 볼 수 있다.
반전이 일어난 지지/저항선을 이용해 가격 구하기지지 혹은 저항이라 생각 되었던 구간의 가격이 역전이 되면 지지였던 영역은 저항으로, 저항이었던 구간은 지지의 영역으로 바뀐 게 된다. 정확하게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는 알 수 없지만 윗 이미지의 예시를 들자면, 저항을 뚫을 만큼의 매수 요구가 트레이더한테 일어났다는 말은 그 가격대가 매수하고 싶은 가격대이기 때문에 많은 매수가 발생한 것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시 가격이 내려올 땐 지지의 역할을 해주어 매수세가 발생한 것이다.
반대도 마찬가지로 지지를 받던 영역의 아래로 가격이 뚫린다면 더 이상 그 부분은 지지역활이 아닌 저항의 영역으로 바뀌게 된다.
100% 승률은 당연히 아니다이 포스트를 보고 지금 당장 차트를 보고 지지와 저황의 영역을 찾으며 백테스팅을 해본다면 금방 이 방법이 항상 맞는다는 것은 아니란 걸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의 설명만 보더라도 지지와 저항은 서로 바뀌기도 하기 때문에 100%로 작용할 순 없다. 당연히 기술적 분석도 그렇고 모든 분석이 다 그렇지만 100% 라는 것은 없으며 약간의 확률을 올려줄 수 있을 뿐이다. 또한 한 가지 마의 분석 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닌 여러 가지의 분석을 조합함으로써 성공확률을 더 상승시킬 수 있다. 지지와 저항은 기본적인 트레이더들의 심리 상황이 차트에 담겨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빠르고 쉽게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728x90'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가치 평가] ROA, 자산수익률로 저평가 주식 찾는 방법 (0) 2022.05.20 [주식 가치 평가] P/FCF, 주가잉여현금흐름배수로 저평가 주식 찾는 방법 (1) 2022.05.18 [주식 기술적 분석] 지지와 저항 - 1편 (기본 개념) (1) 2022.05.13 [주식 가치 평가] ROE, 자기자본이익률로 저평가 주식 찾는 방법 - 2편 (0) 2022.05.11 [주식 가치 평가] ROE, 자기자본이익률로 저평가 주식 찾는 방법 - 1편 (0)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