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코로나 종식에 더 가까워진 지금 주목해야 할 리오프닝 수혜 섹터 화장품 종목관심 주식 2022. 4. 23. 11:11728x90
세계 코로나 종식에 한 발자국 더 가까워진 지금 주목해야 할 리오프닝 수혜 섹터 화장품 종목
화장품 산업은 화장품, 로션, 샴푸, 향수, 헤어 컬러, 액세서리와 같은 소비자 미용 제품을 만듭니다. 화장품 산업은 필수소비재 섹터 또는 임의소비재 섹터 두 섹터 모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글로벌 브랜드와 온라인 스타트업은 소비자들이 전체 경제 상태에 관계없이 구매하는 식료품이나 청소용품 등 소비생활용품의 하위 부문으로 불황에 강한 혜택을 받는 산업에서 시장점유율을 놓고 경쟁한다. 많은 화장품 브랜드들이 또한 명품이기 때문에, 그 부문은 각각의 장점을 제공하면서, 소비자의 필수품과 사치품 사이의 혼합물로 기능한다.
화장품의 하이브리드적 성격과 함께 중국의 급성장하는 시장, 인스타그램 등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뷰티 제품 수요에 미치는 가속적인 효과는 투자자들에게 화장품을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준다. 뷰티와 화장품 회사들이 최근 온라인 마케팅을 선호하기 위해 전통적인 마케팅을 포기한 것은 우연이 아니다.
2019년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는 700억 달러가 넘으며 전년 대비 4%의 성장세를 보였다. 메이크업과 스킨케어는 8.4% 증가해 가장 역동적인 분야로, 특히 전체 소비의 37%를 차지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장품 시장 또한 코로나를 피해갈 순 없었다. 코로나로 인해 모든 시장시 위축된 것처럼 화장품 시작 또한 타격이 컸다. 사람들의 야외활동 감소와 마스크 착용으로 인해 화장품 사용 감소가 크게 영향을 끼치었다. 하지만 세계가 백신과 치료약으로부터 코로나로 회복했듯이 2021년에 화장품 산업 또한 강력한 회복세를 보였다. 이러한 추세는 마스크 착용이 종료되고 여행 제한 해제, 그리고 야외 활동의 재개되며 앞으로 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화장품 산업은 2025년까지 CAGR 4.8%로 7,16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1. Ulta Beauty (ULTA)
ULTA는 화장품, 향수, 헤어케어 및 스킨케어 제품, 미용실 서비스, 관련 액세서리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뷰티 소매업체입니다. 볼링브룩에 본사를 둔 이 회사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품을 유통한다. 2021년 1월 30일 현재, 그 회사는 50개 주에 걸쳐 1,264개의 소매점을 운영하고 있다.분석가들은 올해 회사의 EPS가 전년 대비 268% 증가한 17.15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올해 85억 9천만 달러의 합의 수익 추정치는 전년도에 비해 39.6% 증가한 것이다. 게다가, 그것은 다음 4분기 동안 각각 스트릿의 EPS 추정치를 능가했다. ULTA의 EPS는 향후 5년간 연평균 6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의 성장성이 보이는 기업인 만큼 현재 주가의 밸류에이션은 고평가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P/E ratio는 23.12로 미래에도 크게 변함이 없는 22.47로 예상이 된다. PEG ratio 또한 2.31로 미래에도 현재 주가로는 고평가일 상태일 것이다. 하지만 다른 벨류에이션과는 다르게 P/S 부분에선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만큼 Sale가 주가와 대비하여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 주가는 $446.06이다.
2. Nu Skin Enterprises (NUS)유타주 프로보에 있는 NUS는 퍼스널 케어 및 웰니스 제품을 개발하고 전 세계에 배포하고 있다. 이 회사는 스킨케어 제품과 영양제의 연구와 제품 개발에 종사하고 있다. 이 회사는 자사 제품을 직접 홍보하고 판매하며 유통업체와 웹사이트를 통해 판매한다.
NUS는 2억 8241만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2021 회계연도의 3.97달러 합의 EPS 추정치는 전년도에 비해 9.4% 상승한 것이다. NUS는 4분기마다 합의된 EPS 추정치를 초과했다. 올해 26억 8천만 달러의 합의 매출 추정치는 전년대비 3.8%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분석가들은 회사의 EPS가 향후 5년간 매년 6.8%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현재 주가의 밸류에이션은 약간의 고평가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P/E ratio는 17.93으로 미래 P/E ratio는 약 절반 줄어들어 10.44로 예상이 된다. 하지만 PEG ratio 또한 2.44로 미래에도 현재 주가로는 고평가일 상태일 것이다. 하지만 다른 벨류에이션과는 다르게 P/S 부분에선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만큼 Sale가 주가와 대비하여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P/B 부분도 상대적으로 저평가를 보여주며 순자산가치 대비 저평가 상태라 볼 수 있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 주가는 $61.80이다.
3. Sally Beauty Holdings (SBH)SBH는 전문 미용용품 전문 소매상 및 유통업체로 운영된다. 대략 4,777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회사는 풀서비스/전용 대리점, 오픈라인 대리점, 직판점, 메가 살롱점포를 통해 제품을 유통한다. SBH는 텍사스주 덴튼에 본사를 두고 있다.
2021년 종료된 회계 4분기에 SBH의 총순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한 9억 9,026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회사의 조정된 순이익은 7,311만 달러로 전년보다 3.4% 증가했다. 조정된 EPS는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한 0.64달러였다. 분석가들은 올해 회사의 EPS가 2.59달러로 전년보다 7.9%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SBH의 EPS는 향후 5년간 연 29.9%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주가의 밸류에이션은 적당한 평가를 받고 있는 상태이다. P/E ratio는 7.24이며 미래 P/E ratio는 또한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되며 약간 줄어든 6.37로 나타난다. PEG ratio 또한 0.24로 미래에 현재 주가로는 매우 저평가일 상태일 것이다 (목표 성장성을 충분히 달성할 경우). 다른 벨류에이션들도 저평가로 보이고 있다. P/S 부분에서 또한 저평가를 받고 있으며 그만큼 Sale가 주가와 대비하여 높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P/B 부분은 상대적으로 고평가를 보여주며 순자산가치 대비 약간의 고평가 상태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부채의 수준 때문 일 수 있다.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 주가는 $22.50이다.
728x90'관심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평가 및 재무제표 비교 분석] 버라이존 (VZ) VS AT&T (T) (0) 2022.04.26 인플레이션 대비와 고유가 시대에 주목해야 할 상승 섹터 및 종목 3 가지 (1) 2022.04.24 [가치평가 및 재무제표 비교 분석] 코카콜라 (KO) VS 펩시 (PEP) (2) 2022.04.21 [미국 주식 가치평가 및 재무제표 비교 분석] 퀄컴 (QCOM) VS 인텔 (INTC) (1) 2022.04.19 한국도 코로나 종식, 더불어 코로나 세계 리오프닝에 관심 가져야 할 ETF 4 가지 (0) 2022.04.17